본문 바로가기

안랩人side/안랩!안랩인!

면접 평가의 기준을 알면 면접이 보인다

교수마다 출제 방식과 형식이 다르다. 그리고 매 학기마다 학생은 어떻게 하면 교수님이 원하는 답을 적을 수 있을까, 교수님은 어떤 식으로 평가를 할까 고민하고 심지어 연구까지 한다. 이런 열정을 이제는 면접에 적용해본다면 취업이 조금 더 쉬워지지 않을까?

앞선 포스팅에서는 기업이 원하는 이력서와 면접자에 대해 알아봤다

인사팀장 조언, 기업이 원하는 이력서는 따로 있다
인사팀장 왈, 면접은 첫 5분 자기소개로 결정된다

그런데 과연
기업은 왜 그런 이력서와 면접자를 선호하는 것일까? 그들이 선호하는 인재의 특성은 무엇일까? 이력서와 면접 준비가 끝났다면 이제는 인사담당자의 관점에서 자기 자신을 평가해볼 차례이다이 내용도 안철수연구소의 성백민 인사팀장의 강의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모든 기업에 획일적으로 적용되지는 않겠지만, 충분히 참고할 만하다고 생각한. 다음은 강의 내용 요약.

출처 : http://noworry.springnote.com/pages/4465689

 

각 기업은 저마다의 기준으로 인재를 등용하겠지만, 안철수연구소의 경우 다음과 같은 큰 틀을 갖고 있다.


-개인적 특성

-지원 동기

-교육과 훈련의 정도

-경력

-기술력

-과외 활동

-초과 근무 가능 여부

 

얼굴이 못 생겨서 죄송합니다?


첫째 항목인 개인적 특성은 외모와 자세, 그리고 언어 구사 능력, 성숙도, 태도 및 성실성을 의미한다외모는 잘생기고 못생기고가 아니라 표정이 중요하다. 25~30년 간 살면서 쌓아 온 표정이나 인상을 말하는 것이다. 즉, 부모님께 물려받은 인물이 아니라 살아온 모습을 보는 것이다.

예전에 안철수연구소에 표정이 어두운 연수생이 있어서 첫 주에 거울을 선물하고 일주일에 두세 번씩 10분씩 같이 웃는 연습을 했다그 후, 그 연수생은 연수를 마치고 금융권에 입사하였고, 다시 찾아와서 자기의 표정을 변화시켜주어서 정말 감사하다고 했다. 물론 그 연수생의 능력 역시 출중하였기에 취업할 수 있었겠지만, 이왕이면 어두운 표정보다는 밝은 표정이 더 낫지 않을까

그렇다면 어떤 자세의 면접자가 감점이 될까가끔 면접자 중에 면접관보다 더 편한 자세로, 예를 들어 사장님 자세로 면접에 임하는 이들이 있다. 면접에 임할 때는 상대방에 대한 기본 예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또한 손을 가만히 못 두거나 다리를 떠는 등의 정서불안 증세는 감점 요인이다혹시 영업 분야 지원자는 고객을 많이 만나야 하는 업무 특성상 복장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경력 관리, 가늘고 길게? 굵고 짧지 않게!


지원 동기는 정말 원하는 곳에 진실된 마음으로 지원했는지를 의미한다. 우리 회사를 선택한 이유와 업무에 대한 열정을 봄과 동시에 장기 근속할 마인드셋이 되어있는지를 본다요새 많은 지원자가 이 회사에는 영업, 저 회사에는 기술 이런 식으로 무차별 지원을 한다

이런 산발적인 지원보다는 영업이면 영업, 기술이면 기술, 마케팅이면 마케팅 이렇게 한 우물만 파서 지원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회사에 따라서는 지원자에게 얼마나 많은 곳에 이력서를 넣었는지, 혹은 어떤 분야에 지원했는지를 추가로 물어보는 경우가 있으니 이런 경우 곤란을 겪지 않으려면 정말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 지원하는 것을 추천한다.

우리 부모님 세대는 대부분 한번 취직을 하면 그 회사에 뼈를 묻겠다는 마음으로 '평생 직장'을 추구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뀐 지금은 기업에서도 이런 생각을 가진 지원자는 조금 꺼리는 추세다. 젊은 피를 수혈해야 하는데, 이게 순환이 되지 않으면 기업 입장에서도 곱게 볼 수만은 없다

지원자도 이제는 '평생 직장'보다는 한 분야에서 경력을 굵게 굵게 쌓는 '평생 직업'이라는 마인드셋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조건 따라 너무 자주 직장을 옮기면 조직 생활 부적합자로 낙인이 찍힐 수도 있으니 신중해야 한다.

전공 살리는 게 지름길


셋째 기준은 전공 학과와 관련 특기, 해당 분야의 교육/훈련 정도. 요즘에는 디자인실에도 공대, 경영학, 인문학 등 여러 분야 전공자가 모여있다. 이처럼 전공과 업무 분야의 경계가 점점 사라지는 추세이지만 그래도 전공과 같은 분야로 사회에 진출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사실 전공자이든 비전공자이든 평사원일 때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 시기에는 주로 위에서 내린 지시를 받아서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얕은 지식으로도 충분히 모든 업무를 처리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하지만 과장 이상이 되면 지시를 내려야 하기 때문에 전공한 사람이 승진할 가능성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에서도 관련 전공자를 우대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비전공자는 승진할 수 없는 것일까
? 비전공자도 그 분야에 전공자 못지않은 노력을 하고 충분한 능력이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채용 이유, 경력과 신입 각기 달라


넷째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경력. 과거에는 공채 시스템으로 신입 사원을 한 번에 대거 채용했지만 2000년 이후 공석이 생기거나 인력이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채용하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대체로 신입보다 경력 사원을 선호한다. 왜일까?

기업이 신입 사원을 채용하면 기대하는 업무 능력을 발휘할 때까지 보통 2년이 필요하다. 하지만 2000년 벤처 붐 이후 많은 신입 사원이 대기업에 취직하여 처음 2년 간 업무 능력을 배우고 나서 벤처 기업으로 이직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대기업이 신입 사원 채용을 주저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채용 전형이 수시 채용 형식으로 바뀌자, 기업 입장에서는 당장의 공석을 메울 인력이 필요한데 신입으로는 무리가 있기에 경력 사원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경력직을 뽑을 때는 유사 업무 경험과 잠재 능력, 업무 관련 교육과 이직 사유 등을 고려한다.

당연히 경력으로만 비교하면 신입 사원은 경력 사원을 이길 수 없다. 하지만 기업이 신입 사원을 뽑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경력이 아닌 잠재된 능력과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하는 것이다.

할 수 있는 건 다 해 놓아라

 
다섯째는 기술력. 기업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자의 기술력을 평가한다. 그렇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자격증, 학업 성적, 그리고 외국어 구사 능력이 지원자가 준비할 수 있는 공식적이고 보편적인 기술력이다.

단, 자격증은 여러 분야에 산발적으로 이것저것 따는 것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 관련된 자격증을 집중적으로 따는 것이 좋다. 이는 면접관이 지원자의 일에 대한 열정과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이다또한 학업 성적은 절대적인 성적이 아니라 지원자 성적의 추세 곡선을 보는 것이다지원자의 성실도나 일관성을 평가하겠다는 것이다

취업준비생이라면 하나쯤은 가지고 있을 공식 영어 성적표
. 도대체 이게 왜 필요한 것일까외국어 구사 능력은 당장 업무에 쓸 일이 없어도 자신감과 관련된 것이어서 필수적이다. 업무 중 우연히 들른 외국인 바이어가 영어로 무언가를 물어봤을 때, 겁이 나서 숨거나 떨려서 말 한 마디 못한다면 이는 기업의 이미지상 좋지 않을 것이다. 이 때문에 많은 기업이 외국어 구사 능력을 꼭 체크한다.

꾸준한 과외 활동, 긍정적 자세로 +α를 


여섯째, 과외 활동. 성적, 자격증, 지원 동기 등은 하루 만에도 충분히 글로 뚝딱 써낼 수 있고
몇 달, 조금 길게는 1년만 하면 딸 수 있다. 하지만 과외 활동은 단기간에 큰 성과를 얻을 수 없고 장기적으로 꾸준히 활동해야 하기 때문에 지원자의 성실성과 그 분야에 대한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좋은 기준이다.

 
마지막으로 많은 취업준비생이 꺼리는 초과 근무.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자. 내가 CEO라도 같은 조건이면 초과 근무가 가능한 지원자를 뽑을 것이다. 회사는 바삐 돌아가는데 자기 업무 시간 다 됐다고 퇴근하는 직원을 누가 좋아하겠는가. 이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아 집에 일찍 들어가도 딱히 할 일이 없거나 특별한 일이 없다면 이력서나 면접 시 일주일에 2~3회 정도는 초과 근무가 가능하다고 해보자. 그것만으로도 다른 지원자보다 훨씬 예쁘게 보일 것이다.

면접은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게 아니라 면접관이 듣고 싶어하는 말을 하는 자리이다. 자신의 강점을 위주로 피력하고 부정적인 표현을 삼가하라.

 

 
이제까지 어려운 취업 관문을 뚫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런데, 어렵게 입사하면 또 다른 난관이 있다. 회사 일은 항상 힘들고 어렵다많은 사회 초년생이 상사에게 받는 압박과 스트레스를 호소하는데 이는 직장인이라면 당연한 것이다월급은 바로 억울함과 스트레스에 대한 대가이다. Ahn

대학생기자 최시준 / KAIST Mangement Science

안철수연구소가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이름'이라는 길을 향해 가고 있듯이,
저, 최시준은 '세상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이름'이라는 길을 향해 걸어갑니다. 지금 이 순간 여러분은 어떤 길을 향해 가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