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산책

드라마 ‘미생’으로 보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 그 현황은?

[사진출처: tvn 제공]

지금 가장 hot한 드라마를 뽑으라고 하면 ‘미생’을 떠올릴 것이다. 드라마 ‘미생’은 바둑이 인생의 모든 것이었던 주인공 장그래가 프로입단에 실패한 후, 검정고시 출신에 변변한 자격증 하나 없이 일명 ‘낙하산’으로 대기업 인턴으로 취직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것이다. 인턴 초기의 동기 인턴들의 따돌림과 상사의 무시 등 온갖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고 2년 계약직 사원으로 최종합격하게 된다. 차츰 회사에 적응해나가고 팀의 추진사업에 큰 기여를하게 되면서 그의 상사들에게 인정을 받게 되지만, 그와 다른 동료들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벽이 있었다. 바로 정규직과 계약직 사이에 보이지 않는 벽이다. 계약기간이 끝나면 해고될지도 모르는 불안감, 아니 아무리 정규직을 바라보면서 열심히 일해도 돌아오는 대답은 “그래도 안될꺼야-” 라는 현실적인 상황이다. 어제까지 정규직 동기들과 같이 고생하면서 울고 웃고 했어도 교육에서, 연봉에서, 연말 선물까지 차별받아야 하는 세상.. 과연 옳은 것일까?

‘미생’에서 계속하여 언급되는 정규직과 계약직의 보이지 않는 벽이 무엇이길래 그토록 서글프게 차별을 받는 것일까? 정규직과 계약직을 포함한 여러 가지 비정규직의 정의에 대해서 살펴보자.

인턴사원: 정식 직원이 아닌, 일정기간 일을 시켜보고 그 사람의 정성과 능력을 가늠하여 마음에 들면 채용하는 방식이다. 인턴을 수료하면 정규직으로 전환시켜주거나 가산점을 배정하여 채용시 우선순위권을 주는 회사가 많다는 장점이 있다.

수습사원: 인턴과는 반대로 정식 근로계약이 체결된 상태에서 고용된 근로자가 일정기간 업무에 적응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닝 기간을 두는 제도이다. 보통 회사는 3개월 정도의 수습기간을 주며 회사가 정한 수습 근로자의 월급을 지급한다.

계약직: 일정한 근로 기간 및 방식, 임금 따위를 계약을 통하여 약정하고 그 기간 내에만 고용이 지속되는 직무이다. 회사가 정규직으로 전환하고나 재계약을 지속적으로 하지 않는 이상 근무가 불가능하게 된다.

파견직: 인력파견업체에 고용되어 있으면서 다른 업체로 가서 일을 하게되는 근로자를 뜻한다. 만약 파견 기간이 2년이 넘을시, 업체는 그 근로자를 직접 고용해야할 의무가 있는데 주로 사무직이나 서비스직이 이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다.

정규직: 기간을 정하지 않고 정년까지의 고용이 보장되며 전일제로 일하는 직위나 직무이다. 4대보험과 승진, 급여, 복리후생을 모두 누릴 수 있다.

 

비정규직은 인턴, 계약직 및 파견직 뿐만 아니라 일용직, 아르바이트를 포함한 정규직이 아닌 모든 직종을 의미한다. 가장 큰 차이는 역시나 고용의 안정성이다. 정년까지 고용이 보장된 정규직과 달리 비정규직은 언제 잘릴지 모르는 상황에서 하루하루를 불안에 떨며 살아가야한다. 남보다 더 열심히 해서 점수를 따야하고 눈밖에 날까 얄팍한 급여에도 목소리도 못낸다. 이처럼 서글픈 비정규직은 금년도 607만명으로 600만명 선을 넘었다고 한다. 전체 근로자의  32.4%가 급여와 안정성이 낮은 비정규직으로 채용된다는 사실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평균 임금 차이는 2008년에는 83만원 차이, 2013년에는 1115만원 차이로 더 벌어졌다.

[사진출처: YTN 제공]

일자리를 만드는 주체인 기업은 정규직 채용만 줄이는게 아니라 해외진출을 결심하고 결행한다.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마저도 그렇게 살길을 찾는 추세다 보니 걱정이다. 이렇게 열악한 노동시장의 여건이 비정규직 폭증을 부추긴다. 부족한 일자리와 비정규직 문제해결이 시급한 우리나라 현실이다. 해결방안으로 정부는 이른바 ‘중규직’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중규직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중간형태로 정규직보다는 해고요건이 완화되고 비정규직보다는 급여가 많은 ‘새로운 형태의 정규직’ 개념이다. 즉, ‘정규직의 과보호로 인해 기업이 겁이나서 정규직을 못 뽑고 비정규직이 양산되고있는 상황을 개혁하겠다’라는 취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규직 도입방안은 이름만 바꾼 애매모호한 비정규직의 양산일 뿐이라는 비난여론이 일고 있다. 어서 노동시장과 고용시장의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서 이렇게 안타까운 취업현황의 양극화를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길 기원한다.

 

대학생기자 김도형 / 경기대학교 경영정보학과

 1%라도 더 끌리는 선택을 하자